기니비사우를 소개합니다. 기니는 알겠는데 기니비사우는 뭐지? 우리에게는 생소한 처음 듣는 나라이지만 여느 아프리카 나라와 다름없이 풍부한 잠재력을 갖은 기니비사우의 일반사항과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해 알아보자.
기니비사우 일반사항
기니비사우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작은 나라로 북쪽으로는 세네갈, 남쪽과 동쪽으로는 기니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인구는 약 190만 명이며 수도는 비사우이다. 기니비사우의 공식 언어는 포르투갈어이다. 그러나 Creole, Balanta, Mandinka 및 Fula를 포함하여 다른 많은 언어가 국가에서 사용된다. 기니비사우는 1973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 정치적 불안정과 부패로 어려움을 겪었다. 여러 번의 쿠데타와 군사 개입을 겪었고 정부와 기관은 여전히 취약하다.
역사
서아프리카의 작은 나라인 기니비사우는 식민지 이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길고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지역에는 만딩카, 풀라, 발란타와 같은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했는데, 이들은 작은 마을에 살았고 주로 농업과 무역에 종사했다. 15세기에 포르투갈은 이 지역을 대서양 횡단 노예 무역의 기지로 사용했고, 지역 주민들을 정복하고 그들의 언어, 문화, 종교를 강요함으로써 점차 내륙에 대한 지배권을 확장했다. 20세기 초 기니비사우를 비롯한 아프리카의 포르투갈 식민지에서 독립을 요구하는 민족주의 운동이 일어났다. 아프리카 기니 카브랄 독립당()은 1956년 기니비사우와 카보베르데를 포르투갈의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해 아밀카르 카브랄과 다른 활동가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 PAIGC는 포르투갈 식민지 당국에 대항하여 게릴라전을 벌였다. 게릴라전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초에 걸쳐 많은 지지를 받게 되었다. 이는 길고 피비린내 나는 분쟁으로 이어져 결국 1973년 기니비사우는 독립을 쟁취할 수 있었다. 독립 후 국가는 안정적인 통치와 경제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PAIGC는 일당 국가를 형성하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구했지만 다른 정치 세력의 반대와 군사 쿠데타의 도전을 받게 된다. 1990년대 후반, 기니비사우는 국가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고 광범위한 폭력과 경제 쇠퇴를 초래한 내전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그 이후로 국가는 안정과 민주주의를 회복하는 데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었지만 빈곤, 부패 및 정치적 불안정과 관련된 문제에 계속 직면하고 있다.
정치
기니비사우의 정치는 1973년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이후 불안정과 갈등으로 특징지어져 왔다. 기니비사우는 쿠데타, 군사 개입, 내전을 겪어 발전과 안정을 심각하게 저해했다. 기니비사우는 다당제 민주주의 국가로, 대통령이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이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선출되며 최대 2번의 임기로 재선될 수 있다. 국회는 4년 임기로 선출된 102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국가의 입법 기관이다. 정당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기니비사우의 정치적 충성은 종종 이데올로기나 정당의 강령보다는 개인적인 관계와 후원 네트워크에 기반한다. 부패는 높은 수준의 부정부패와 족벌주의로 국가의 정치 및 경제 시스템에 만연한 문제이다. 군대는 또한 기니비사우의 정치에서 수년에 걸쳐 여러 번의 쿠데타와 쿠데타 시도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군은 정치에 개입하고 불법 활동에 가담한 혐의를 받고 있다. 국제 사회는 기니비사우에 배치된 다양한 평화 유지 및 안정화 임무를 통해 기니비사우의 정치 및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그러나 진전은 더디었고 국가는 정치적 불안정과 폭력에 취약하고 취약한 상태로 남아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기니비사우의 정치 지형에는 평화로운 선거와 보다 개방적이고 투명한 정치 과정을 포함하여 몇 가지 긍정적인 발전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법치를 강화하고 부패를 척결하며 국가의 정치 제도가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국민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경제
기니비사우는 농업 기반 경제가 심하고 산업 발전이 제한적인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이다. 국가 전체 수출의 약 90%를 차지하는 캐슈넛 수출뿐만 아니라 국제 원조와 디아스포라 송금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농업 부문은 인구의 대다수를 고용하며 쌀, 옥수수, 수수는 국내 소비를 위해 재배되는 주요 작물이다. 캐슈넛 생산은 국가의 주요 현금 작물이며 농민과 정부에 상당한 수입을 창출한다. 기타 농산물에는 땅콩, 야자유, 과일 및 채소가 있다. 어업은 어류와 기타 해양 자원이 풍부한 기니비사우의 연안 해역에서 또 다른 중요한 부문이다. 그러나 남획과 불법 조업으로 인해 어족 자원이 고갈되고 산업의 지속 가능성이 훼손되었다. 해변, 자연의 아름다움, 야생 동물로 인한 관광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 상당한 수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와 투자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기니비사우는 높은 수준의 빈곤, 제한된 인프라, 취약한 거버넌스, 인적 자본 부족 등 수많은 경제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국가는 GDP의 10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 부채로 막대한 부채를 안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정부는 기업 환경 개혁, 외국인 투자 유치, 인프라 개선 등 경제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진전이 더디고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 기후 변화, 정치적 불안정과 같은 외부 충격에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사회
기니비사우는 여러 민족과 언어를 가진 다양한 사회이다. 가장 큰 민족은 풀라(Fula)이며 그 다음으로 발란타(Balanta), 만딩가(Mandinga), 페펠(Pepel) 등이 있다. 포르투갈어가 공식 언어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원주민 언어도 사용한다. 이 나라는 인구의 약 50-60%가 이슬람교를 믿는 이슬람 국가이다. 기독교는 두 번째로 큰 종교로 인구의 약 20-30%가 기독교인이며 대부분 로마 카톨릭이다. 가족과 지역사회는 기니비사우 사회에서 강력한 대가족 네트워크와 연장자를 존중하는 문화를 통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애니미즘과 조상숭배와 같은 전통적인 믿음과 관습은 이슬람과 기독교와 공존하고 있다. 문해력이 낮고 기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인 기니비사우에서는 특히 농촌 지역에서 교육과 의료가 중요한 문제이다. 이 나라는 세계에서 유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며 기대 수명은 낮다. 성 불평등은 기니비사우에서도 중요한 문제다. 여성은 차별을 받고 교육 및 경제적 기회에 대한 접근이 제한된다. 여성 할례와 조혼을 포함하여 여성과 여아에 대한 폭력은 널리 퍼져 있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기니비사우의 사회는 풍부한 문화 유산과 강력한 음악, 춤, 예술 전통을 바탕으로 탄력 있고 자원이 풍부하다. 코라와 발라폰과 같은 전통 음악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 나라의 음악가들은 그들의 재능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다.
'유럽, 아프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제르 소개(일반사항, 역사, 정치, 경제, 사회) (0) | 2023.03.14 |
---|---|
부르키나 파소의 소개(일반사항, 정치, 경제, 사회) (0) | 2023.03.13 |
차드 이야기(일반소개, 역사, 경제, 사회) (2) | 2023.03.12 |
에리트레아 이야기(일반소개, 역사, 경제, 사회) (0) | 2023.03.12 |
남수단 공화국 이야기(일반소개, 역사, 경제, 사회) (1) | 2023.03.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