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르키나 파소에 대해 아십니까? 부르키나 파소는 서아프리카의 나라이다. 대한민국의 2.7배나 되는 국가이지만 자세히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부르키나 파소의 일반적인 사항, 역사, 경제, 사회에 대해 알아보겠다.
부르키나 파소의 일반사항
부르키나 파소는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내륙국으로 북쪽과 서쪽으로 말리, 동쪽으로 니제르, 남동쪽으로 베냉, 남쪽으로 토고, 남서쪽으로 가나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 나라의 인구는 약 2100만 명이며 수도는 와가두구이다. 면적은 274,200제곱킬로미터이다. 다양한 민족 및 언어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60개 이상의 민족과 언어가 사용된다. Mossi 족이 가장 큰 민족 집단이며 그들의 언어인 Moré는 국가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역사
이전에 Upper Volta로 알려진 부르키나 파소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풍부하고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지역은 그들의 독특한 문화, 언어, 정치 체제를 발전시킨 다양한 민족들이 거주했다. 19세기에,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진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인 모시 제국이 주변 국가들의 일부를 포함한 그 지역을 장악했다. 프랑스는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이 지역을 식민지화했고, 1919년에 별도의 식민지로 Upper Volta를 설립했다. 1947년에 프랑스의 자치령이 되면서 1960년에 볼타 공화국으로 완전히 독립했다. 1983년 토마스 산카라는 군사 쿠데타를 통해 부르키나파소의 대통령직을 인계받았다. 대중적이고 카리스마적인 지도자인 산카라는 토지 개혁, 반부패 조치, 집중과 같은 사회주의적이고 진보적인 정책을 시행했다. 그는 국가명을 Upper Volta에서 Mossi 언어로 "정직한 사람들의 땅"을 의미하는 Burkina Faso로 변경했다. 상카라 정부는 1987년 그의 전 친구이자 동맹인 Blaise Compaoré가 이끄는 쿠데타로 전복되었다. Compaoré는 27년 동안 국가를 통치했으며, 그 기간 동안 부르키나 파소는 경제 성장과 정치적 안정을 경험했지만 부패도 발생하였다. 2014년 콤파오레는 대중 시위 이후 사임해야 했고 과도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2015년 부르키나파소는 수십 년 만에 처음으로 자유롭고 공정한 민주적 선거를 치렀습니다. Roch Marc Christian Kaboré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국가의 경제 및 안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정치
부르키나파소는 대통령이 국가원수와 정부수반을 겸하는 반대통령제 공화국이다. 대통령은 국민 투표를 통해 선출되며, 최대 2년, 5년의 임기를 가질 수 있다. 부르키나파소의 의회는 127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5년간 국민투표를 통해 선출된다. 이 나라는 진보를 위한 인민운동(MPP), 민주진보회의(CDP), 진보개혁연합(UPR), 중생대/산카리스트운동연합(UNIR/MS) 등 다양한 정당과 다당제를 가지고 있다. 부르키나파소는 수십 년의 독재 통치 끝에 2015년 공정하고 자유로운 민주 선거에서 정점을 찍으며 민주적 통치를 향해 진보했다. 로크 마르크 크리스티안 카보레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그의 행정부는 민주주의 제도와 과정을 지지하기 위한 조치들을 시작했다.
경제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부르키나파소는 주로 농업에 의존하는 육지로 둘러싸인 나라입니다. 농업 부문은 국가 GDP의 약 35%를 차지하며 노동력의 약 80%를 고용하고 있다. 이 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작물은 목화, 땅콩, 수수, 기장이다. 부르키나파소는 또한 작지만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광산업, 특히 금 생산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이 나라는 아연, 망간, 구리와 같은 다른 광물 자원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원에도 불구하고 부르키나파소는 1인당 GDP가 약 750달러로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국가 중 하나로 남아있다. 이 나라는 불충분한 기반 시설, 제한된 재정적 접근, 그리고 교육받지 않은 노동력과 같은 몇 가지 경제적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인프라 개선, 민간 투자 촉진, 중소기업 지원 등 경제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부르키나파소 정부는 경제 성장과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시행했다. 여기에는 인프라 개선, 민간 부문 투자 촉진, 중소기업(SME) 지원을 위한 노력이 포함된다. 정부는 또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비즈니스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개혁을 시행했다. 최근 몇 년 동안 부르키나파소는 경제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 기부자와 개발 파트너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받았다. 이 지원에는 인프라, 교육 및 보건에 대한 투자와 지역 경제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노력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심각한 경제 및 개발 문제에 처해 있다.
사회
부르키나파소는 60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을 가진 국가이다. 모시족은 가장 큰 민족 집단을 대표하며 나라의 정치적, 경제적 영역을 지배한다. 풀라니족, 보보족, 구르마족을 포함한 다른 주요 민족들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부르키나파소의 공용어는 프랑스어이며, 주로 도시 주민들이 사용한다. 무어어와 줄라어는 이 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토착어이다. 종교는 부르키나파소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가장 큰 두 종교이다. 무슬림이 인구의 약 60%를 차지하는 반면 기독교인은 약 20%를 차지한다. 토착 종교와 애니미즘도 관찰된다. 부르키나파소는 인구의 약 60%가 25세 미만인 젊은 국가이다. 비록 그 나라가 교육과 의료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지만, 그것은 여전히 어려운 상황으로 남아 있다. 부르키나파소의 많은 어린이들은 특히 시골 지역에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영아 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입니다. 부르키나 파소는 전통 음악, 춤, 예술 형식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을 반영하는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나라는 또한 문화 전통과 역사를 대대로 전승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그리오(이야기꾼)와 함께 구전 이야기의 강력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유럽, 아프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고 공화국 소개(일반사항, 역사, 경제, 사회) (0) | 2023.03.14 |
---|---|
니제르 소개(일반사항, 역사, 정치, 경제, 사회) (0) | 2023.03.14 |
기니비사우 소개(일반사항, 정치, 경제, 사회) (0) | 2023.03.13 |
차드 이야기(일반소개, 역사, 경제, 사회) (2) | 2023.03.12 |
에리트레아 이야기(일반소개, 역사, 경제, 사회) (0) | 2023.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