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의 섬나라 앤티가바부다를 아시나요? 나라 이름이 바부다? 우리에게 너무나 생소한 나라 앤티가바부다. 인구가 너무 적고 국토가 작아서일까요? 세계지도 꽤나 본 제 입장에서도 처음 듣는 나라입니다. 인구는 10만이 안되고 3개섬으로 이루어진 작은 나라인 앤티가바부다의 (우리입장에서는) 독특한 이름이 생긴 이유와 일반사항, 정치, 경제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와의 관계와 역사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사항
정식 나라 이름은 앤티가바부다(Antigua and Barbuda)입니다. 인구는 2021년 CIA 자료에 따르면 99,180명으로 매우 소국입니다. 인종은 흑인 87.3%, 혼혈 4.7%, 히스패닉2.7%, 백인 1.6%, 기타 3.6%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면적은 442.6㎢로 서울의 70% 수준입니다. 수도는 Saint John's입니다. 언어는 영어(공용어)와 지방방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개신교(68.3%), 가톨릭(8.2%), 기타(17.7%)를 믿고 있습니다.
정치현황
정부의 형태는 의원내각제입니다. 국가원수는 찰스 3세(Charles Ⅲ)입니다. 총독은 로드니 윌리암스(Rodney Williams, 2014.8월 취임), 총리는 가스톤 브라운(Gaston Browne, 2014.6월)입니다. 의회는 양원제로 상원 17석, 하원 18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독립기념일은 1981년 11월 1일일 기념일로 하고 있습니다. 독립되는 과정은 역사에서 다루겠습니다.
경제현황
GDP 규모는 15억 달러로 1인당 GDP는 14,685달러입니다. 경제성장률은 5.4%, 물가상승률은 2.78%입니다. 수출은 주로 수공예품, 전자부품, 수송장비, 식료품, 축산물 등을 하고 있으며 8600만 달러 규모 있습니다. 수입은 주로 식료품, 축산물, 기계류, 화학제품, 원유 등을 수입하고 있으며 규모는 7억 1400만 달러 규모입니다.
우리나라(대한민국)와의 관계
우리나라(대한민국)와 수교는 1981년 11월 1일로 독립기념일과 같으며, 한국이 최초 수교국입니다. 우리나라는 주 도미니카대사관 관할로 편입되어 있습니다. 2021년 무역협회 기준으로 우리나라와 교역현황을 보면 우리나라는 자동차, 고무제품, 축전지 등 280만 달러를 수출하고 있으며, 120만 달러를 수입하고 있습니다.
역사
앤티가바부다는 3개의 섬으로 구성된 섬 나라입니다. 3개의 섬이란 앤티가, 바부다, 레돈다 섬과 그 부속 섬들을 말합니다. 그래서 국호도 앤티가바부다입니다. 레돈다 섬이 나라이름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무인도이기도 하고 섬 크기가 너무 작기 때문입니다. 앤티가바부다는 우리에게는 생소하지만 유럽에는 오래전부터 알려진 곳입니다. 1493년,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제2차 항해 당시에 발견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스페인 세비야에 있는 교회 이름을 따라 안티구아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이후 1632년에 영국인 Sir. Thomas Warner에 의해 영국 식민지 편입됩니다. 1860년에는 바부다 섬이 안티구아 행정구역에 편입됩니다. 이후 큰 문제없이 300년 넘게 쭈욱 영국령으로 유지됩니다. 이후에 1958년 서인도연방에 편입되어 1962년 5월까지 이 연방이 해체할 때까지 회원국으로 남게됩니다. 1966년 자치령이 되기 위한 신헌법을 제정하고 1967년 외교와 국방 문제만 영국에 의존하는 자치정부를 수립합니다. 1980년 12월이 되면 런던에서 개최된 헌법회의에서 양국은 독립을 합의하게 됩니다. 앞서 말한대로 1981년 11월 영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을 하게 됩니다. Vere Bird가 독립 정부의 수상이 됩니다. 1984년 4월 총선에서 ALP(안티구아 노동당)가 승리하고 Bird 수상 재취임합니다. ALP는 2004년 총선에서 지면서 제1야당인 연합진보당(UPP)과 교체될 때까지 정권을 잡습니다.
'아시아, 중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리랑카의 역사(실론 자치국, 스리랑카 공화국) (0) | 2023.04.20 |
---|---|
스리랑카 이야기(일반현황, 정치, 경제, 역사(고대~식민시대)) (0) | 2023.04.19 |
투르크메니스탄 이야기(정치구조, 경제정책, 경제동향) (0) | 2023.04.02 |
투르크메니스탄 이야기(일반소개, 대외전략) (0) | 2023.03.25 |
수리남 이야기(경제, 사회적 특징, 대외정책, 우리나라와의 관계) (0) | 2023.03.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