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에 이어 스리랑카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리랑카의 독립하여 자치국 실론, 새로운 독립국으로서의 스리랑카 공화국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독립 이후 실론(1948.2월-1972.5월)
1948년 2월 4일부터 英연방 내에 자치국으로 실론(Ceylon)이 출범합니다. 영국 국왕을 국가원수로 하고 스리랑카인 총독을 두어 국가원수의 권한을 대행하였습니다. 정치형태는 내각 수반인 총리가 실권을 행사하는 영국식 내각책임제를 채택하였습니다. 독립 이후 D. S. 세나나야케(D. S. Senanayake) 초대 총리가 이끄는 통일국민당(United National Party, 이하 UNP)의 보수정부가 집권, 親서방 정책을 취하였으나, 1956년 4월 총선에서 인민통일전선(후에 자유당으로 통합), 1960년 7월 총선에서 스리랑카 자유당(Sri Lanka Freedom Party, 이하 SLFP)이 집권하였습니다. SLFP는 기본적으로 진보적 민족주의 세력이었으나 점차 좌경화되었습니다. 1959년 9월 25일 솔로몬 반다라나이케(Solomon W.R.Bandaranaike) 총리가 암살당한 후 그의 부인인 시리마보 반다라나이케(Sirimavo Bandaranaike) 여사가 SLFP 당대표로 집권하였습니다. 1962년 "실론화 정책"이라는 일련의 국유화 조치를 통하여 미․영계 석유회사를 접수하고 유력지 ANC 그룹(Associated Newspapers of Ceylon Ltd)의 국영화를 강행하여, 국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신감 고조되었습니다. 1965년 3월 총선에서 UNP가 승리하면서 더들리 세나나야케(Dudley Senanayake) 정권이 출범하였습니다. SLFP 정부가 개척한 사회주의 국가의 원조를 받아들이면서도, 3개 미․영 석유회사에 보상금을 지불하여 관계를 개선하였습니다. 1970년 5월 총선에서 SLFP, 평등사회당(Lanka Sama Samaja Party, 이하 LSSP), 공산당(Communist Party of Sri Lanka, 이하 CPSL)으로 구성된 야당 통일전선이 승리하였습니다. 시리마보 반다라니아케를 수반으로 하는 3당 연립정부는 주요 산업을 국유화하였습니다. 동독, 북베트남, 북한은 이를 승인하여 대사급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등 사회주의 정책 실시하였습니다. 1971년 3월 극좌 민족해방전선(Janatha Vimukthi Peramuna, 이하 JVP)이 정부를 전복하려는 시도를 하였습니다. 1971년 3월 16일 국가 비상사태 선포 후 반란은 곧 진압되었습니다. 1972년 5월 20일 신헌법이 공포되었습니다. 영연방 자치국에서 새로운 독립 공화국으로 출범하였습니다.
스리랑카 공화국(1972년 5월 ~ 1978년 9월)
총독제를 폐지하되, 영연방(Commonwealth) 회원자격은 유지하였습니다. 1976년 제5차 비동맹 정상회의를 콜롬보에 유치하고 의장국으로 활동하면서 대외적인 업적을 쌓았습니다. 그러나 국내적으로 장기간의 국가비상사태가 유지(1971년 3월~ 1977년 2월)되고 사회주의 경제정책으로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습니다. 1977년 7월 총선에서 UNP가 51% 득표, 총의석 168석 중 140석을 차지하며 압승을 거둡니다. 자야와르데나(Jayewardene) 당대표가 총리에 취임하면서 싱가포르를 표본으로 삼아 스리랑카를 남아시아의 금융 중심지로 변모시키려고 노력하는 등 경제개발정책 수행에 역점을 두기 시작합니다. SLFP는 30% 득표율을 기록하였으나 8석을 차지하는 데 그치고, 타밀 통일해방 전선(Tamil United Liberation Front: TULF)이 7%를 득표하였으나 16석을 확보하여 제1야당이 되었습니다. 1977년 10월 헌법 개정을 통하여 내각 책임제에서 대통령 중심제로 정부형태 변경하고 1978년 2월 자야와르데나 총리가 초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습니다.
'아시아, 중남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리랑카의 역사(2005년부터 현재까지) (0) | 2023.04.27 |
---|---|
스리랑카의 역사(1979년부터 2005년까지) (0) | 2023.04.21 |
스리랑카 이야기(일반현황, 정치, 경제, 역사(고대~식민시대)) (0) | 2023.04.19 |
앤티가바부다 이야기(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 관계, 역사) (0) | 2023.04.15 |
투르크메니스탄 이야기(정치구조, 경제정책, 경제동향)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