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 아프리카에 존재하는 베냉 공화국에 대해 아시나요? 기역자 모양의 아프리카에서 꺾이는 부분에 위치한 베냉 공화국, 옛날 대항해시대라는 게임을 좋아하셨던 분이라면 알 수도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은 베냉 공화국의 일반현황,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의 관계,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현황
정식 나라 이름은 베냉공화국(République du Bénin)입니다. 수도는 포르토노보(Porto Novo)로 수도의 인구는 27만 명입니다. 하지만 경제수도는 코토누(Cotonou)로 그곳의 인구는 68만 명이나 됩니다. 전체 인구는 1,245만명('21년, World Bank)이며, 면적은 112,622㎢으로 한반도의 절반 크기입니다. 종교는 부두교(50%)와 기독교(30%), 회교(20%)를 믿고 있습니다. 언어는 불어가 공용어이며 토착어도 사용합니다. 1960년 8월 1일 프랑스에서 독립하였습니다.
정치현황
정부형태는 대통령 중심제로 대통령은 Patrice Talon(파트리스 탈롱), 부통령은 Mariam Chabi Talata (마리암 차비 타라타)입니다. 1990년 베냉 민주주의 도입 이후 초대 부통령으로 2021년 당선되었습니다. 총리는 Lionel Zinsou (리오넬 진수), 외교장관은 Aurélien Agbénonci (오레리안 악베논시)입니다. 경제현황 GDP는 180.7억 달러(‘21, IMF)이고 1인당 GDP는 1,450달러(‘21, IMF)입니다. 경제성장률(GDP)은 5.5%(‘21, IMF), 교역량은 56.06억 달러('20, IMF)입니다. 수출은 25.28억 달러로 면, 캐슈너트 등이 주요 수출품입니다. 수입은 30.78억 달러로 식료품, 자본재, 석유제품 등을 주로 수입합니다. 화폐단위는 CFA Franc입니다.
우리나라와의 관계
대한민국과는 1961년 8월 1일 수교하였습니다. 그러나 1975년 10월 베냉 측에서 단교 통보하였고 1990. 10월 재수교하였습니다. 공관 현황을 보면 우리나라는 주 가나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으며, 배냉은 주 중국 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의 수출입 현황은 1,500만 달러(‘21, KITA)로 수출은 1,490만 달러로 중고의류, 의약품, 합성수지 등을 수출하고 있으며, 수입은 20만 달러로 금속류, 면화 등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투자현황은 2800만 달러(‘21 누계, 수출입은행)정도입니다. ODA는 538만 달러(1991-2019년)를 지원하였습니다.
역사
17세기에 세워진 다호메이 왕국이 20세기까지 존속하였습니다. 특히 18세기에는 노예무역의 중심지로서 번영했습니다. 하지만 1894년에 프랑스와의 전쟁에 패하고 프랑스령이 되었습니다. 전쟁 직후 나라가 망하지는 않고 우선 프랑스령 다호메이 왕국으로 명맥은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1895년에 프랑스 정부가 다호메이의 왕을 추방하고 프랑스령 서아프리카의 일부가 되어 왕국은 공식적으로 멸망, 베냉 지역은 프랑스령 다호메이가 됩니다. 1960년 아프리카의 여러 나라들이 독립하게 되자, '다호메이 공화국'이라는 이름으로 프랑스의 식민지에서 독립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일당독재 체제가 들어섰고, 이에 대한 반발로 쿠데타도 일어나는 등 혼란을 거듭했습니다. 1972년에는 마티외 케레쿠(Mathieu Kérékou) 소령이 무혈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뒤 사회주의를 도입하여 1975년에 베냉 인민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하였습니다. 1980년대 중후반에는 IMF로부터 구제금융을 받는 등 경제침체는 여전하였습니다. 냉전 붕괴 후에는 민주주의 체제를 도입해 1990년 '베냉 공화국'으로 탈바꿈하여 민주적인 선거로 니세포르 소글로가 당선되었습니다. 이후 1996년 케레쿠가 다시 재집권하여 2001년 3월 재선하였습니다. 2006년에는 야이 보니가 당선되었고 2011년에 재선에도 성공, 2016년까지의 임기를 수행하였습니다. 2016년에 파트리스 탈롱이 대통령에 당선되어 2020년까지도 임기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럽, 아프리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제르바이잔 이야기(일반현황, 경제현황, 우리나라와 관계) (0) | 2023.04.07 |
---|---|
몰도바 공화국 이야기(일반현황, 정치, 경제, Transnistria 지역 분쟁) (0) | 2023.04.06 |
적도기니 공화국(일반사항, 정치현황, 경제현황, 대한민국과의 관계, 최근 정세) (0) | 2023.03.23 |
코모로 연방 이야기(일반개요, 역사, 경제현황, 대한민국과의 관계) (0) | 2023.03.22 |
상투메프린시페 이야기(일반개요, 정치, 경제, 역사, 대한민국과의 관계) (0) | 2023.03.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