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럽, 아프리카

아제르바이잔 이야기(일반현황, 경제현황, 우리나라와 관계)

by 강강돌이 2023. 4. 7.

코카서스 산맥에 위치한 아제르바이잔이라는 나라를 아시나요? 코카서스가 어디인가? 아제르바이잔이 의약품 이름인가? 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름다운 풍광으로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기 시작하는 나라라는데요. 이곳이 어떤 곳인지 일반현황, 경제현황, 우리나라와의 관계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현황

이 나라의 정식 이름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Republic of Azerbaijan)입니다. ‘아제르바이잔’은 페르시아어 ‘아자르(Adhar :불)’와 아랍어 ‘바이잔(Beyqan : 나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불의 나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곳은 고대부터 천연가스가 많아 지표면으로부터 가스가 분출되어 불이 솟구쳐 올라왔으며, 그래서인지 불을 숭상하는 조로아스터교(배화교)가 성행하였습니다. 전체 국토의 면적은 86,600㎢으로 한반도의 40% 정도입니다. 수도는 바쿠 (Baku)입니다. ‘바쿠’는 페르시아어 ‘바트쿠베’로 즉, 산바람이 심하게 부는 곳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흔히 바쿠를 ‘바람의 도시’로 일컬으기도 합니다. 인구는 2023년 기준 1,041만 명입니다. 민족은 아제르바이잔인이 90.6%로 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게스탄인은 2.2%, 러시아인 은1.8%, 아르메니아인은 1.5%, 기타 민족이 3.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민족 구성만큼 언어도 다양하지만 대부분은 아제르바이잔어(공용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종교는 전체 인구의 95.2%가 이슬람교(시아파 75%, 수니파 25%)를 2.5%는 러시아 정교를, 2.3%는 아르메니아 정교를 믿고 있습니다. 주요 국경 인접국은 아르메니아(1,007km), 그루지아(480km), 이란(756km), 러시아(390km), 터키(13km)와 접경하고 있습니다. 지형은 대부분 산악지대로 카프카스 산맥을 중심으로 남동쪽 경사면은 삼림지대로 되어 있으며 동부로 갈수록 낮은 구릉이 이어져 카스피해에 이릅니다. 이 주변에 수도인 바쿠와 그 유명한 바쿠 유전지대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남서부는 카라바흐 고원으로 목초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양한 지형의 변화만큼 기후는 건조(중서부), 아열대(남부), 대륙성(북부) 기후 모두를 가지고 있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은 전 세계 13개 기후대 중에서 9개가 존재하여 기후 전시장과 같은 독특한 특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1991년 10월 18일 소련으로부터 독립하였습니다. 정부형태는 대통령제이며 중임제로 대통령의 임기는 5년입니다.

 

경제현황

명목 GDP는 480억 달러로 1인당 GDP는 4,851달러입니다. 경제성장률은 1.4%정도입니다. 산업구조는 서비스업 30.2%, 제조업 51.7%, 농업 5.3%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역 교역액은 333억 달러로 수출액은 196억 달러로 석유제품, 식료품, 금속제품 등이 주요 수출품이고, 수입액은 136억 달러로 기계장비, 금속제품 등을 주로 수입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대한민국)와의 관계

우리나라와는 지난 1992년 3월 23일에 수교하였습니다. 교역 규모는 약 8,100만 달러로 수출액은 8,000만 달러로 승용차, 기계, 컴퓨터, 밸브, 철구조물 등을 수출하였으며, 수입액은 100만 달러로 구리, 알루미늄, 음료, 카페트, 위생용품 등을 수입하였습니다. 2019년 누계 기준으로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투자금액은 1억 8천만 달러이고 아제르바이잔이 대한민국에 투자한 금액은 3억 7천만 달러입니다. 대한민국이 아제르바이잔에 지원한 무상원조는 2019년 누계 기준으로 6,323만 달러에 이릅니다. 2020년 기준으로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는 한인은 약 180명입니다. 2019년 기준을 아제르바이잔에 방문한 우리나라 사람은 9,145여 명이고, 우리나라를 방문한 아제르바이잔인은 1,387여 명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