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4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스탈린 사망 이후, 독립,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 계속 이어서 아제르바이잔의 역사를 알아보고 있습니다. 벌써 1950년대까지 왔습니다. 1953년 스탈린 사망이후와 구 소련 해체에 따른 독립, 20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의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스탈린 사망 이후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해빙기가 도래하여 문학, 학문, 언론 분야 등에서 검열이 완화, 표현의 자유가 신장됩니다. 반면, 이러한 해빙은 새로운 반이슬람 캠페인을 야기시키면서 공화국 국민들을 러시아인으로 동화시키는 운동이 전개됩니다. 1960년대 시베리아 유전이 개발되고 바쿠 연안 원유층의 고갈로 바쿠의 산유지로서의 가치가 급격히 감소하게 됩니다.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투자가 감소하였으며 아제르바이잔은 소련내에서 생산성과 경제발전 속도가 가장 낮은 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아제르바이잔.. 2023. 4. 12.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제정 러시아 시대, 소련의 지배) 어제에 이어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에 대해 이어서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은 이어서 제정 러시아의 지배를 받는 시대와 그에 이은 소련의 지배기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제정 러시아의 지배 사파비 왕조 멸망 후 수십개 공국으로 분열됩니다. 이 때 제정 러시아가 새로운 패권자로 북부지역을 점령하기 시작합니다. 1723년 러시아는 바쿠를 점령하였고 대부분의 영토는 터키가 차지합니다. 1724년 이스탄불 조약에 의거, 바쿠를 포함한 카스피해 연안지역은 러시아로, 나머지는 터키로 편입됩니다. 1804년부터 1813년 사이에 러시아-폐르시아(이란) 전쟁으로 제정 러시아가 현 아제르바이잔 지역을 점령합니다. 엘리자베트와 바쿠의 양현을 설치하고 1813년 굴리스탄 조약(Treaty of Gulistan) 및 1828년 투르크멘.. 2023. 4. 10. 아제르바이잔의 역사(고대국가 형성, 이슬람 시대와 투르크 왕조) 어제에 이어 오늘은 아제르바이잔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제르바이잔의 시작인 고대국가의 형성과 이슬람을 받아들이 이슬람시대, 이후 투르크 왕조의 시기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고대국가 형성 35만-40만 년 전 구석기시대부터 인류는 아제르바이잔에 거주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제르바이잔 내에는 인류의 거주 흔적이 있는 고고학적인 터가 다수 존재하고 특히 남서부에 위치한 아지크 동굴에서는 35-40만 년 전으로 추정되는 초기 인류의 턱뼈 발견되었습니다. 신석기 및 청동기 시대에는 바쿠인근인 카스피해 서안지역에서 농목민 거주지 발견되었습니다. 기원전 2-3천 년경 쿠티, 룰루, 투르키, 수 등으로 불리는 부족국가들이 코카서스 지역에 정주하기 시작했습니다. 기원전 1,000년에 아라즈강 남부지역에 '마나' 왕조 .. 2023. 4. 9. 아제르바이잔 이야기(일반현황, 경제현황, 우리나라와 관계) 코카서스 산맥에 위치한 아제르바이잔이라는 나라를 아시나요? 코카서스가 어디인가? 아제르바이잔이 의약품 이름인가? 하시는 분들 많으실 겁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아름다운 풍광으로 여행을 좋아하시는 분들이 많이 찾기 시작하는 나라라는데요. 이곳이 어떤 곳인지 일반현황, 경제현황, 우리나라와의 관계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현황 이 나라의 정식 이름은 아제르바이잔 공화국(Republic of Azerbaijan)입니다. ‘아제르바이잔’은 페르시아어 ‘아자르(Adhar :불)’와 아랍어 ‘바이잔(Beyqan : 나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불의 나라’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곳은 고대부터 천연가스가 많아 지표면으로부터 가스가 분출되어 불이 솟구쳐 올라왔으며, 그래서인지 불을 숭상하는 조로아스터교(배화교)가 성행.. 2023. 4. 7.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