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4

통가왕국 이야기(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의 관계, 역사) 통가라는 나라를 아시나요? 태평양 국가 중 유일한 왕국인 통가왕국. 평창올림픽 때 근육맨 기수였던 타우파투푸아로 유명한 그곳입니다. 우리나라(대한민국)와 교류도 적고 현지 교민도 18명만 산다는 그곳. 그러나 우리에게 생소할 뿐 없는 곳이 아닙니다. 오늘은 태평양의 섬나라 통가왕국의 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의 관계,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사항 정식 나라이름은 통가왕국(The Kingdom of Tonga)입니다. 태평양 지역의 국가 중에 유일한 왕국입니다. 수도는 누쿠알로파(Nuku'alofa)로 Tougatapu 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약 3만 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통가왕국의 전체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10만 명입니다. 다만, 통가에 거주하는 10만여 통가인 외에 해외에 1.. 2023. 4. 17.
앤티가바부다 이야기(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 관계, 역사) 중남미의 섬나라 앤티가바부다를 아시나요? 나라 이름이 바부다? 우리에게 너무나 생소한 나라 앤티가바부다. 인구가 너무 적고 국토가 작아서일까요? 세계지도 꽤나 본 제 입장에서도 처음 듣는 나라입니다. 인구는 10만이 안되고 3개섬으로 이루어진 작은 나라인 앤티가바부다의 (우리입장에서는) 독특한 이름이 생긴 이유와 일반사항, 정치, 경제에 대한 이야기, 우리나라와의 관계와 역사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사항 정식 나라 이름은 앤티가바부다(Antigua and Barbuda)입니다. 인구는 2021년 CIA 자료에 따르면 99,180명으로 매우 소국입니다. 인종은 흑인 87.3%, 혼혈 4.7%, 히스패닉2.7%, 백인 1.6%, 기타 3.6%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면적은 442.6㎢로 서울의 70% 수.. 2023. 4. 15.
앙골라 공화국의 역사(70~90년대 내전, 2002년 과도기, 2008년 이후 총선 이후) 어제에 이어 앙골라 공화국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독립과 동시에 시작된 국제전 양상의 내전과 2002년의 과도기, 2008년 총선 이후 상황 순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독립 후 내전 1974년 4월에 포르투갈 군사 쿠데타로 ‘카에타노’ 식민정권이 붕괴되자 앙골라에도 독립이 허용되었습니다. 1975년 1월 앙골라 과도정부가 수립되었고, 이 정부에는 MPLA, FNLA, UNITA 등 3개 독립운동단체가 대표로 참여하였습니다. 1975년 7월 MPLA와 FNLA-UNITA 연합 세력 간에 내전이 발발합니다. 소련, 쿠바, 동구권의 제국은 MPLA를 지지함으로써 국제전의 성격으로 발전합니다. 1975년 11월 쿠바군 지원에 힘입은 MPLA가 Luanda 점령하고 전격적으로 독립을.. 2023. 4. 14.
앙골라 공화국 이야기(일반사항, 정치, 경제, 역사(초기~포르투칼 식민지) 앙골라 공화국에 대해 아시나요? 아프리카 서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오랜 기간 가슴 아픈 내전에 휘말린 국가입니다. 오늘은 이 앙골라 공화국에 대해 일반사항, 정치, 경제, 역사(초기~포르투갈 식민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사항 정식 나라이름은 앙골라 공화국(Republic of Angola)입니다. 수도는 루안다입니다. 인구는 3300만명입니다. 국토 면적은 1,246,700㎢로 한반도의 5.6배입니다. 민족은 오빙분두(37%), 킴분두(25%), 바콩고(13%), 혼혈(2%), 백인(1%), 중국(1%), 기타 아프리카(22%) 순입니다. 종교는 가톨릭(41%), 기독교(38%), 토착종교(8.6%)입니다. 언어는 포르투갈어를 공용으로 하고 있으며, 토착어인 반투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기후는 열대.. 202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