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의 섬나라 사모아독립국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저는 어렸을 때 사회과부도를 많이 봤습니다. 그런 저에게는 사모아독립국보다는 서사모아라는 이름이 더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지난 1997년 서사모아독립국에서 사모아독립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습니다. (그래서 세계지리에 관한 정보는 업데이트를 해야 합니다.) 그럼 오늘은 사모아독립국의 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의 관계, 역사, 미국령 사모아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일반사항
정식 나라이름은 사모아독립국(The IndependentState of Samoa)입니다. 수도는 아피아(Apia)로 전체 인구는 2021년 기준으로 20만 명입니다. 면적은 2,831㎢(Upolu 섬, Savaiai섬 및 수개의 군소 도서)이며, 민족 구성은 사모아인(92.6%), 유럽-폴리네시아 혼혈(7%), 유럽계 (0.4%)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종교는 기독교 47%, 카톨릭 20%입니다. 언어는 사모아어, 영어를 사용합니다. 정치현황 정부형태는 의원내각제입니다. 국가 원수는 5년 임기로 의회에서 선출되며 명목 상의 권한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총리는 5년 임기로 의회에서 선출되며, 국가원수가 형식적으로 임명합니다. 의회는 단원제로 총 50석이며 임기는 5년입니다. 주요 인사로는 국가 원수인 투이팔레알리파노 바알레토아 수알라우비 2세(Tuimalealiifano Va’aleto’a Sualauvi Ⅱ)가 있습니다.
경제현황
2021년 기준으로 총 GDP는 7억 5200만 달러입니다. 1인당 GDP는 3,436달러입니다. 2020년 기준으로 교역 규모는 4억 달러로 수출은 3,000만 달러, 수입은 3억 7000만 달러입니다. 주요 산업은 관광, 농․수산업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의 관계 우리나라(대한민국)와는 지난 1972년 9월 15일에 수교하였습니다. 우리나라는 상주 대사관을 설치하지 않고 있으며, 주 뉴질랜드대사관에서 겸임하고 있습니다. 사모아는 중국에서 한국을 겸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교역규모는 2021년 기준으로 3400만 달러로 수출은 3200만 달러, 수입은 2만 달러 정도입니다.
역사
사모아섬은 폴리네시아인(人)이 가장 먼저 정착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은 오랫동안 독자적인 전통사회를 유지하였습니다. 1722년 네덜란드의 항해가 야코프 로게렌(Jacob Roggereen)이 유럽인으로서 이곳에 처음 도착하였습니다. 1830년에는 선교사들이 방문하여 기독교를 전파하여 많은 사모아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였습니다. 당시 사모아는 폴리네시아계의 말리에토아왕조(王朝)가 통치하고 있었으나 19세기 후반에 왕위계승을 둘러싼 쟁탈전이 벌어졌고, 이 틈을 이용하여 태평양으로 진출을 노리는 영국·독일·미국 3국의 사모아의 점령이 시도되었습니다. 때마침 1889년 태풍이 일어나 아피아항구(Apia Harbour)에 집결한 3국의 함대가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는데 그 해에 3국간에 협정이 이루어져 서사모아는 독일령 사모아, 동사모아는 미국령 사모아로 분할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독일령 사모아는 뉴질랜드의 위임통치령이 되었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까지도 뉴질랜드의 신탁 통치하에 있었으나 1961년 UN 총회를 통해 사모아의 독립이 인정되었고, 다음 해 1962년 1월 1일을 독립을 선언하였습니다.
미국령 사모아
그럼 미국령 사모아로 남았던 동사모아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지금도 여전히 미국령 사모아로 남아 있습니다. 사모아독립국은 아니지만 참고로 알아보겠습니다. 미국령사모아는 미국의 속령으로 면적은 200㎢입니다. 수도는 팡오팡오입니다. 인구는 약 5만여 명으로 외교와 안보를 제외한 부분은 자치로 해결하고 있습니다. 1인당 GDP는 2018년 기준으로 11,963달러 정도로 사모아독립국보다는 조금 나은 편이지만 미국의 속령 중에서는 가장 가난한 지역입니다.
'오세아니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가왕국 이야기(일반사항, 정치, 경제, 우리나라와의 관계, 역사) (0) | 2023.04.17 |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의 역사(제1차 세계대전~현재) (0) | 2023.04.05 |
파푸아뉴기니 독립국 이야기(일반사항, 경제현황, 역사) (0) | 2023.04.04 |
나우루 공화국의 정치(일반개요, 독립 이후 정세, 대통령의 정치) (0) | 2023.03.19 |
나우루 공화국과 인광석, 한국과의 관계 (0) | 2023.03.17 |
댓글